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오리온 자리에서 왼쪽으로

천체관측

by KimUH 2024. 2. 13. 13:45

본문

늦깎이 천문학자가 입문 시절에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초보 입장에서 쓴 천체 관측 안내서.

 

이 책은 도시에 거주하는 초보자가 작은 망원경으로 볼만한 관측 대상을 찾는 법을 설명해 준다.

이 책이 특별했던 점은 관측 대상을 찾는 기준점을 (도시에서는 보이지 않는) '별자리'가 아니라 (도시에서도 잘 보이는) '가장 밝은 별'로 삼았다는 데 있다.

인구 대부분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현실에 적합한 입문서로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지금도 많이 추천되고 있다.

 

지금 영어 원서는 5판까지 나왔지만 한글 번역은 3판 기준으로 되어 있다.

최신판은 대구경 돕소니안 입문자를 위해서 대구경에서만 보이는 어려운 내용이 많이 추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초심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번역서의 기준인 3판이 오히려 낫다.

 

 

이 책은 여러 계절별 천제를 '작은 망원경으로 보았을 얼마나 멋진가'를 주관적인 기준으로 매긴 '등급'으로 분류해 놓았고,, 광공해가 심한 도시 지역에서도 관측할 수 있는 지 알려주는 '하늘 상태'로도 분류되어 있어있다.

망원경은 있지만 달/목성/토성등 가장 밝은 태양계 천체를 본 이후에는 도대체 뭘 봐야될 지 모르는 초보 입장에서는 이보다 더 친절할 수는 없다.

 

이 책을 벌써 몇 번이나 읽었지만 아직도 못 본 천체가 많다.

아쉬운 마음에, '평가 등급 3이상'('매우 멋진 천체'라는 의미) 북반구 계절별 천체를 정리해 봤다.

('어두운 하늘'이라고 표시된 경우, 광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는 잘 안 보일 수도 있다.)

 

겨울 

- 황소자리 : 플레이아데스, 산개 성단, M45

- 오리온 자리 : 오리온 성운, M42와 M43 (어두운 하늘. 북반구에서 가장 화려하고 멋진 천체.)

- 오리온 자리 : 다중성 계, 오리온 자리 시그마

- 외뿔소 자리 : 삼중성, 외뿔소 자리 베타

- 쌍둥이 자리 : 산개 성단, M35

- 큰개 자리 : 산개 성단, M41

- 고물 자리 : 산개 성단, M93 (어두운 하늘)

 

- 게 자리 : 벌집, 산개 성단, M44 (개인적인 최애 쌍안경 천체.)

- 게 자리 : 산개 성단, M67과 변광성

- 큰곰 자리 : 두개의 은하, M81과 M82  (어두운 하늘)

- 사냥개 자리 : 구상 성단, M3 (어두운 하늘)

 

여름

- 헤라큘레스 자리 : 대 구상 성단, M13

- 헤라큘레스 자리 : 라스엘게시, 쌍성, 헬라큘레스 알파

- 뱀 자리 : 구상 성단, M5 (어두운 하늘)

- 거문고 자리 : 이중 쌍성, 거문고 자리 엡실론

- 거문고 자리 : 고리 성운, 행성상 성운, M57 (어두운 하늘)

- 백조 자리 : 알비레오, 쌍성, 백조자리 베타

- 여우 자리 : 아령 성운, 행성상 성운, M27 (어두운 하늘)

- 돌고래 자리 : 쌍성, 돌고래 자리 감마

- 궁수 자리 : 백조 성운, M17 (어두운 하늘)

- 방패 자리 : 야생 오리, 산개 성단, M11 (어두운 하늘)

- 전갈 자리 : 산개 성단 2개, M6과 M7

- 궁수 자리 : 구상 성단 2개, M22와 M28 (어두운 하늘)

- 궁수 자리 : 석호 성운, 산개 성단과 함께 있는 성운, M8

 

가을

- 페가수스 자리 : 구상 성단, M15  (어두운 하늘)

- 안드로메다 자리 : 안드로메다 은하, M31 (어두운 하늘. 개인적인 쌍안경 차최애 천체)

- 안드로메다 자리 : 알마크, 쌍성, 안드로메다 자리 감마

- 카시오페이아 자리 : 산개 성단들, NGC 457, NGC 663 (어두운 하늘)

- 페르세우스 자리 : 이중 성단, 산개 성단 2개, NGC 869와 NGC 884

 

멋진 천체는 어두운 곳에 가야 보이는 경우도 많지만,  산개 성단, 쌍성 같은 밝은 천체는 도시에서도 잘 보이므로 도시에 거주한다고 해서 천체 관측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60~90mm 소형 굴절 망원경 기준으로 쓰여졌기에 더더욱 그러하다.

 

여름에 멋진 성단이 많지만, 겨울의 오리온, 봄의 벌집, 가을의 안드로메다등, 계절마다 멋진 천체가 하나씩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천체관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으로 찍어본 오리온 성운.  (0) 2024.03.02
NINA 극축 정렬 플러그인  (1) 2024.02.16
ASIAIR를 알게 된 후  (0) 2024.02.13
휴대성 끝판왕 - 셀레스트론 Travel Scope 70  (3) 2024.02.12
달 착륙의 흔적  (0) 2024.02.12

관련글 더보기